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한 발자국

[핵심간호술기]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

by 상미미 2024. 4. 27.
반응형

1. 개요

 

1) 말초산소포화도 측정

말초산소포화도 측정은 동맥혈 산소포화도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산소를 포함하는 헤모글로빈의 %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기는 측정기 케이블에 광원이 연결되어 있는 센서입니다. 광원은 헤모글로빈 분자들이 산화되고 환원되는 정도에 따라 다르게 흡수한 빛을 방출합니다. 헤모글로빈이 산소로 포화될수록 산소포화도는 더 높아지며, 일반적으로 SpO2의 정상 범위는 95∼99%입니다. SpO2가 95% 미만으로 계속 측정되는 경우 주의 관찰이 필요하며, SpO2 90%는 저산소혈증을 의미합니다. 말초산소포화도 측정 기기 오류율은 3~4%로 발견되며, 특히 중증 대상자 및 신생아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말초산소포화도 측정은 저산소혈증 또는 가스교환 부전의 위험이 있는 대상자에게 실시합니다. 말초산소포화도 측정은 간단하고 통증이 없는 방법으로서, 동맥혈 가스 검사(ABGA)와 같은 침습적 산소포화도 측정 방식에 비해 위험 요소가 거의 없습니다. 손가락, 발가락, 귓불에서 측정할 때 센서의 투사광 변화를 감지해야 하기 때문에 맥박이 뛰는 혈관 부위에서 측정해야 하며, 동맥혈류를 감소시키는 상태는 이들 부위에서 산소포화도 측정 시, 정확도에 영향을 줍니다. 말초관류가 감소된 대상자들은 이마에서 측정하도록 합니다.

햇빛, 대상자의 움직임처럼 센서의 투사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산소포화도 수치에도 영향을 줍니다. 말초산소포화도 측정을 할 때는 직사광선이나 형광등 불빛을 피해야 하며, 센서는 불투명한 천이나 수건으로 싸서 보호해야 합니다.

혈액 내의 일산화탄소, 황달, 정맥주사용 염료는 헤모글로빈 분자로부터 반사되는 빛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조건하에서 측정된 SpO2 수치는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센서 투사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있다면, 동맥혈 가스 검사)를 통해 산소포화도를 측정해야 합니다.

성인의 경우, 재사용이 가능하거나 일회용인 측정 센서를 귓불, 손가락, 발가락, 콧등, 또는 이마 등에 부착합니다. 각각의 센서는 지정된 신체 부위에 부착하며, 부위 별로 상호 교환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사용하는 센서를 귀나 코에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전자혈압계 커프를 감은 사지에 센서를 부착하지 않으며, 부어있거나 피부 통합성이 감소되어 있는 손가락, 귓불, 콧등에 센서를 부착하지 않습니다. 체온이 낮은 손가락에도 센서를 부착하지 않습니다

.

 

2) 심장 모니터 설정

일반적으로 지속적인 심장 전기 생리 모니터링은 대부분 급성 중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됩니다. 이러한 모니터링의 핵심 요소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이며, 심전도는 심장 조직의 탈분극(depolarization)과 재분극(repolarization)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활동을 연속적인 그래프 영상으로 보여 줍니다. 이러한 영상은 진단, 기록,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유선이나 원격 측정에 의한 심장 전기 생리 모니터링은 중환자실, 준중환자실, 원격 모니터링 병동, 회복실, 수술실, 응급실의 모든 대상자에게 적용됩니다.

유선 심전도 모니터에는 대상자에게 직접 부착할 수 있는 전극과 유도 전선이 있습니다. 이는 대상자의 박동을 모니터로 직접 전달합니다. 원격 측정 시스템에도 전극과 유도 전선이 있는데, 이는 대상자와 배터리 팩을 연결하여 무선 주파 방식을 통해 모니터로 박동을 전달합니다. 원격 측정 방식은 대상자의 점진적인 보행과 대상자가 활동을 견딜 수 있는 정도를 평가할 때 유용합니다. 원격 측정 방식의 단점은 보행과 활동으로 ECG 그래프 모양이 왜곡되어 허상이 생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12-유도 심전도법(derived 12-lead electrocardiography)의 유도(leads) 배치EASI 유도 배치:E, 5번째 늑간강 위치의 흉골(sternum) 하부에 부착된 전극A, 5번째 늑간강 위치의 왼쪽 중앙액와선(midaxillary line)에 부착된 전극S, 흉골 상부에 부착된 전극I, 5번째 늑간강 위치의 오른쪽 중심 액와선에 부착된 전극다섯 번째 접지 전극은 어느 곳에나 배치 가능

 

3) 심장 모니터 유도 배치

심장의 특정 영역에서 전기활동을 확인하기 위해 전극을 흉부의 특정 부위에 배치합니다. 심전도 모니터는 3-유도(thre

e-lead)나 5-유도 시스템(five-lead wire system)을 사용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심장의 전기활동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할 수 있는 보편적인 틀에서 파악되는 정보를 사정하여 대상자의 심장 상태에 대해 적절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유도를 표준 배치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ECG 편향을 결정하는 두 가지 주된 요인은 신체에 부착된 전극의 위치, 그리고 전극의 위치와 관련된 심장 박동의 방향입니다.

심전도법의 기본 원칙은 전류의 원칙입니다. 이러한 원칙은 전기가 양극 방향으로 흐를 때에는 모니터나 그래프 용지에 위로 곧게 선 모양의 그래프로 표시됩니다. 전기가 양극에서 멀어지는 경우, 즉 음극 방향으로 흐를 때에는 모니터나 그래프 용지에 아래로 내려간 모양 또는 편향된 형태로 표시된다.

 

4) 유도 전선의 기호화

① +, P (positive, 양성) or –, N (negative, 음성)

② RA (right arm, 오른팔)

③ RL (right leg, 오른쪽 다리)

④ LA (left arm, 왼팔)

⑤ LL (left leg, 왼쪽 다리)

⑥ V (precordial vector, 전흉부 벡터)

⑦ C (chest lead, 흉부 유도)

 

5) 주의사항

유선 측정이나 원격 측정을 통해 얻은 침상 모니터링 정보는 인쇄, 저장 및 분석을 위해 중앙 모니터로 전송될 수 있습니다. 많은 중앙 모니터링과 침상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두 개 이상의 유도를 동시에 연속적으로 판독해 줍니다. 이러한 판독으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ECG 유형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각 대상자의 상황에 따른 모니터링의 목표에 기반하여 최적의 유도를 선택합니다. ECG 모니터링의 기본 목표는 대상자의 심박수와 리듬을 관찰하고, 심근허혈(my

ocardial ischemia) 및 손상 (ST 모니터링)의 유무와 다형성 심실빈맥(torsade de pointes)의 위험이 있는 대상자의 QT 또는 QTc 간격을 관찰하는 것입니다.

기존의 12-유도 구성을 사용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비효율적이지만 침상 옆 EASI 12-유도 모니터링 시스템은 오직 다섯 개의 전극만을 사용하여 심장의 열두 개의 영상을 모두 지속적으로 제공합니다. 지속적인 12-유도 ECG는 침상 옆 모니터에서 정보 이용이 가능하도록 범위를 확대하여 각 의료 기관의 지침에 따라 미리 정해둔 시간 동안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심장 모니터링의 최적 표준(gold standard)인 12-유도 ECG를 EASI 유도 ECG로 대체하는 것에 대해 합의를 완전하게 이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극의 위치가 바뀌면 파형에 심각한 왜곡이 생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잘못된 진단과 치료를 하게 될 수 있습니다.

EASI 12-유도 심전도(EASI-derived 12-lead electrocardiogram)와 측정값은 기존의 12-유도 심전도값의 근사치이므로 진단을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2. 목적

① 말초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비침습적 장치로 저산소혈증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② 대상자의 상태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3. 준비물품

처방지, 입원 팔지,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기, 손 소독제, 소독솜, patient moniter(EKG moniter), electrode, 간호기록지,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4. 절차 -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 적용(초록색 글씨는 이론적 근거)

1.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 미생물의 전파 방지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안전간호를 위한 대상자 확인

4.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 정확한 대상자 확인

 

1) 산소포화도 측정

5. 대상자에게 산소포화도 측정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 대상자의 불안 감소를 위해

6. 손 소독제를 이용하여 손위생을 실시한다.

7.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기의 전원ㅇ르 켠 후 센서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한다.

→ 정확하게 연결하여 동맥박동을 나타내는 신호음을 잘 듣도록 하기 위해

8. 손톱상태를 확인한 후 센서를 손가락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 측정 방해요인 : 피부의 기름기, 더러움, 매니큐어, 인조손톱 등

9. 대상자에게 주의사항을 설명한다.

- 혈액순환을 잘 측정할 수 있도록 팔을 많이 움직이지 말 것

- 센서에 강한 외부 빛이 비치지 않도록 할 것

- 손가락이 아프거나 손가락에 습기가 차면 즉시 알릴 걸

10. 산소포화도 측정치를 읽고 산소포화도와 심박동수의 경고 범위를 설정한 후 경보음이 울리면 즉시 알리도록 대상자에게 설명한다.

→성인의 산소포화도 정상범위 : 약 95 ~ 100%, 맥박의 범위 : 50 ~ 140회/분

11. 측정기의 줄이 당기지 않도록 정리한다.

 

2) 심전도 모니터 적용

12. 대상자에게 심전도모니터링의 목적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 불안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얻기 위해

13. 대상자의 가슴을 노출시키고 전극 부착 위치를 선정하고 해당 부위의 피부상태를 확인한다.

→ 정확한 측정을 위해 땀이나 이물질 제거

14. 전극을 준비한다.

15. 대상자에게 붙일 전극과 lead wires를 연결한다.

16. 전극 뒷부분의 비닐을 제거한다.

17. 준비된 전극을 부착하고, 잘 고정되었는지 확인한다(젤 패드는 누르지 않음).

→ 정확한 측정을 위해

18. 오른쪽 팔(RA) 전극 부착 : 오른쪽 쇄골 아래 부위

19. 왼쪽 팔(LA) 전극 부착 : 왼쪽 쇄골 아래 부위

20. 왼쪽 다리(LL) 전극 부착 : 왼쪽 5번째 늑간과 중심 액와선이 만나는 부위

21. 심전도 lead Ⅱ를 설정하고 리듬, 심박동수를 확인한 후 경고음을 설정한다.

→ 비정상적 심전도 양상을 파악

→ 불안을 감소시키고 원활한 협조를 얻기 위해

22. 대상자에게 경고음이 울리면 간호사가 확인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23.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24. 손을 씻는다.

25. 수행결과를 대상자의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산소포화도, 심박동수, EKG 결과)

→ 대상자 상태 및 여러 생리학적 요인 : 동맥혈가스분석(ABGA) 결과, 헤모글로빈/적혈구용적률(Hb/Hct) 결과, 활력징후 미 산소주입 등의 여러 가지 관련 요인을 기록

출처

송경애 외(2018),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강효정 외(2017), 핵심기본간호술 가이드라인, 수문사

NursingSkills, https://www.nursingskills.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