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통계학 한 발자국48

[SPSS 통계 해석]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SPSS Process Macro) 1.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SPSS Process Macro) 조절된 매개효과(moderated mediation effect)는 조절변수의 수준에 따라 매개과정의 강도나 방향이 변화되는 효과를 의미하는데, 통계적으로는 조건부 간접효과(conditional indirect effect)를 의미한다(Preacher, Rucker, & Hayes, 2007). 조절된 매개분석의 주된 목적은 조절변수 수준에 따른 매개과정의 구조적 변화 또는 간접효과 크기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건부 간접효과의 추정과 검정을 실시한다(Preacher et al., 2007). 조절된 매개효과는 매개효과의 강도가 특정 변수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조절변수의 값이 높아질수록 매개효과가 강화되거나 약.. 2024. 5. 19.
[SPSS 통계 해석] 조절효과 검증(Baron&Kenny) 1. 조절효과 검증(Baron&Kenny) 본 연구에서는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검증하기 이전에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매개변수인 우울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에 제시하였다. 을 살펴보면, 위계적 회귀분석 1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조절변수인 간호전문직관을 같이 투입하였고, 2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조절변수인 간호전문직관의 상호작용항을 추가로 투입하였다. 이를 통해 상호작용항의 유의미성과 추가적인 설명량의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의 상호작용항이 통.. 2024. 5. 19.
선행연구 정리/ 연구도구 정리 선행연구를 정리하는 정해진 규칙도, 정해진 방법도 없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정리해놓으면 편리한 내용이 있습니다. 선행연구를 정리할 때 선행연구를 따로 정리하고, 연구 도구를 따로 정리하면 나중에 이용하게 될 때도 매우 편합니다. 1. 선행연구 정리 ① 선행연구의 연구자 이름, 논문 발행연도, 논문 제목,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작성합니다. 변수의 구분은 연구방법 중 연구모형을 통해 구분이 가능하며, 이외에도 논문의 내용을 통해 구분이 가능합니다. ② 가설 설정은 연구방법 중 가설설정을 참고해서 작성하고, 결론은 연구결과 중 가설 검증의 요약 또는 고찰 및 결론을 참고하여 작성합니다. ③ 제언 및 논의는 고찰 및 결론을 참고하여 작성합니다. ④ 비고란에는 선행연구의 특징을 작성합니다. 지도 교수님 논문인.. 2024. 5. 18.
[SPSS 통계 해석] 회귀분석 -2 (위계적 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1.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여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종속변수인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 및 또래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과 에 제시하였다. 을 살펴보면, 1단계에서는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을 각각 투입하였고, 2단계에서는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의 상호작용항을 추가 투입하였다.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β=-.045, p>.05), R² 변화량도 유의미하지 않았다(∆R²=.002, F=.385, p>... 2024.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