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간호학 한 발자국42

요 검사(소변검사) 1. 요 검사물 수집 1) 수시 방출뇨(random specimens) 시간에 상관없이 깨끗한 용기에 수집한 소변 검사물로 보통 15~60ml 이면 검사하기에 충분한 양입니다. 수시 방출뇨로 일반적인 정성검사를 하여 비정상상태를 쉽게 변별해 낼 수 있습니다. 대상자로 하여금 지정 된 소변용기나 다른 깨끗한 용기에 직접소변을 받도록 합니다. 만약 집에서 소변을 수집한 경우는 2시간 이내로 검사실로 보내야 하며, 시간이 지연될 경우 부정확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아침 첫 소변(first-voided specimens) 소변이 가장 농축되었을 때인 아침에 일어나 바로 받아낸 소변 검사물로, 산성이 가장 강하며 농축이 가장 잘 되어 있기 때문에 희석된 소변 검사물로 알아낼 수 없는 것을 알아낼 수 .. 2024. 5. 10.
채혈 검사별 참고표 (정리표) 검사 참고치(정상치) 단위 임상적 의의 1. 전 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 - 적혈구 검사(RBC count) RBC 남 : 4.0 ~ 6.0 X 10⁶ 여 : 3.8 ~ 5.3 X 10⁶ μℓ ▲증가 : 심한 설사, 탈수, 급성약중독, 폐섬유증, 진성다혈구증 ▼감소 : 빈혈, 골수기능저하, 출혈, 에디슨증후군, 류마티스염 Hb 남 : 13 ~ 17 여 : 12 ~ 16 g/㎗ ▲증가 : COPD, 다혈구증, 울혈성심부전, 위성 다혈증(stress, 다혈증, 탈수 등), 진성 다혈증(고지대 거주자, 만성 순환장애, 만성 호흡장애 등) ▼감소 : 중증 철결핍성 빈혈, 재생 불량성 빈혈, 호흡곤란, 오심, 구토, 발열, 갑상선 기능항진증, 간경화, 임신, 심한 출혈 Hct 남.. 2024. 5. 9.
[간호술기] 채혈 정리 1. 채혈 1) 채혈 부위 검사물 수집 시 대부분 정맥혈을 채혈하며, 모세혈관에서 채혈 시 아동과 성인은 귓불이나 손가락 끝, 영아와 신생아는 발뒤꿈치 부분을 이용합니다. 검사에 필요한 혈액량이 1.5cc 이상일 경우에는 정맥에서 채혈해야 합니다. 2) 채혈 방법 - 공통 ① 필요한 물품(lancet, 피부소독용액, 거즈, 알코올 솜, 검사물 수집 용기 등)을 준비합니다. ② 대상자를 앉거나 눕도록 하여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합니다. ③ 천자할 부위의 팔이나 다리를 침대 위나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베게 등으로 지지합니다. ④ 천자할 부위를 선정하고, 피부준비를 한 다음 천자할 부위만 남겨두고 그 주변을 손으로 꽉 잡습니다. ⑤ 혈액이 잘 나오지 않더라도 그 부위를 쥐어짜서는 안 됩니다(쥐어짤 경우 조직.. 2024. 5. 8.
간호평가 1. 평가 1) 특성 평가는 미리 정한 기준이나 표준을 이용해서 평가할 대상의 질이나 가치를 비교해서 결정하는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입니다. 모든 것이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그 평가에 포함될 속성이 무엇이고, 그 속성을 측정할 방법을 미리 결정해야 합니다. 2) 표준 무엇을 해야하는지에 관한 모델로서 권위자, 관례, 동의에 의해 설정됩니다. 3) 기준 특별한 기술, 지식, 행동, 태도 등을 기술하는 측정할 수 있거나 관찰할 수 있는 능력으로 타당성과 신뢰성 모두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정확하고 구체적인 기준은 평가자료의 수집과 그 자료에 대한 판단을 위함 지침이 됩니다. 2. 간호과정 1) 다른 단계와의 관계 효과적인 평가는 앞에서 실시된 단계들의 효과성에 달려 잇습니다. 사정자료가 .. 2024. 5.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