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한 발자국

[간호술기] 단순도뇨

by 상미미 2024. 4. 24.
반응형
 

1. 개요

1) 요도와 방광의 해부생리과 기능

① 방광

강한 근육성 주머니로서 소변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요도를 통해 배설합니다. 방광이 정상적으로 퍼진다면 길이가 약 12.5cm이며, 소변을 약 500mL 저장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그보다 2배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② 요관

가느다란 관으로서 길이는 25 ~ 30cm이고, 지름은 6mm(1/4inch) 정도입니다. 각 요관의 신장으로 연결되는 위쪽 끝부분은 깔때기 모양으로 생깁니다. 요관의 아래 끝부분은 방광의 후면 쪽으로 연결됩니다.

 

③ 요도

여성의 경우 치골결합의 바로 뒷부분, 질의 앞부분에 위치하며, 길이는 3.7cm 가량, 남성의 요도 길이는 약 20cm입니다. 여성은 요도가 짧고 질과 항문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남성에 비해 요로감염에 취약합니다.

 

④ 방광

소변을 저장합니다.

 

⑤ 요관

신장에서 소변이 형성되면 요고나으로 들어와 방광으로 보냅니다.

 

⑥ 요도

방광과 요도구를 연결합니다.

 

2. 목적

① 급성 방광팽만을 완화합니다.

② 만성적인 배뇨장애 대상자를 장기적으로 관리합니다.

③ 무균적인 소변검사물을 수집합니다.

④ 자연배뇨 시 회음부의 오염을 방지합니다.

⑤ 배뇨 후 잔뇨량을 검사합니다.

⑥ 방광세척이나 약물을 주입합니다.

 

3. 준비물품

처방지, 입원팔찌, 도뇨 모형, 드레싱 세트, 단순도뇨관(성인 : No 6 ~ 8, 아동 : No 4), 멸균윤활제, 멸균장갑, 공포, 쟁반 또는 카트, 소변기, 방수포, 반홑이불, 사이드 램프, 손소독제, 간호기록지, 소독솜, 마른거즈

4. 절차 - 단순도뇨(초록색 글씨는 이론적 근거)

1.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 미생물의 전파 방지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 도뇨 세트를 쟁반이나 드레싱 카트 위에 놓고 무균적으로 편다.

4. 도뇨 세트의 칸이나 종지에 소독솜을 넣고 멸균된 마른 거즈와 윤활제, 공포(hole towel)를 세트 속에 넣는다.

5. 적당한 크기의 도뇨관을 무균적으로 세트 속에 넣은 후 세트를 무균적으로 싼다.

→ 여자 : No 6 ~ 7, 남자 : No 7 ~ 8

6.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여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7. 손 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8.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9. 대상자에게 단순도뇨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 침습적 절차에 의한 불안과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협조를 도움

10.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스크린이나 커튼을 친 다음 똑바로 눕도록 한 후 침구를 깔아준다.

11. 대상자의 둔부 밑에 방수포를 깔아준다.

12. 하의를 벗도록 하고 적합한 자세를 취하게 하되, 여성은 무릎을 굽히고 다리를 벌려 배횡와위(dorsal recumbent position)를, 남성은 똑바로 눕도록 한다.

→ 요도구를 가장 잘 노출시키는 자세

13. 홑이불의 끝을 대상자의 복부 위로 접어 올려 회음부를 노출시키고 대상자에게 다리를 움직이지 않도록 설명한다.

→ 멸균부위의 오염 방지

14. 세트가 있는 쟁반과 곡반을 대상자의 다리 사이에 놓고 단순도뇨 세트를 무균법의 원칙에 따라 개봉한다.

→ 멸균공간 확보 및 세균전파 예방

→ 요도구를 잘 보이는 환경을 조성

15. 손 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 세균의 전파 방지

16. 멸균장갑을 무균적으로 착용한다.

17. 멸균장갑을 낀 손이 오염되지 않게 멸균된 공포로 회음부 위를 덮어 음순 부위만 노출시킨다.

18. 윤활제를 도뇨관 끝에 충분히 바르고(여성은 5cm, 남성은 12 ~ 18cm), 소독솜으로 외음부 주위를 닦을 때 찬 느낌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19. 소독솜으로 대상자의 외음부 주위를 닦는다.

→ 무균술을 위해 한 번 닦을 때마다 새 소독솜을 사용하고 닦은 솜은 세트 바깥 포나 곡반에 버림

 

2) 여성의 경우

1. 한 손의 엄지와 검지로 음순을 벌려서 요도를 노출시킨다.

2. 다른 손으로 양편 대음순을 소독솜으로 위에서 아래로 각각 닦고 버린다.

→ 오염이 덜 된 요도구 쪽에서 오염이 많이 된 항문 쪽으로 닦음으로써 요도구 오염을 예방

3. 양편 소음순을 소독솜으로 위에서 아래로 각각 닦고 버린다.

4. 요도를 위에서 밑으로 닦는다.

5. 도뇨관을 삽입할 때까지 음순을 왼손으로 벌리고 있는다.

→ 절차 중에 왼손을 소음순에서 떼면 소음순이 요도구에 닿아 다시 오염이 되므로 주의

 

3) 남성의 경우

1. 왼손의 엄지와 검지로 음경을 잡고 포피를 잡아당긴다,.

2. 요도를 소독솜으로 닦고 버린다.

3. 요도구 바깥쪽으로 둥글게 닦고 버린다.

 

20. 도뇨관을 삽입함을 대상자에게 설명하고 긴장을 풀도록 유도한다.

→ 도뇨관은 이완된 상태에서 삽입이 잘 되므로 긴장을 줄이기 위해 입을 벌리고 '아' 소리를 내도록 설명

21. 다른 손으로 도뇨관이 오염되지 않게 잘 감아쥐고, 요도 후상방으로 5 ~ 8cm 삽입한다(남성의 경우 12 ~ 18cm를 삽입).

→ 여성과 남성의 요도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도뇨관의 삽입 길이가 다름

22. 소변이 흘러나오기 시작하면 도뇨관을 2 ~ 4cm 가량 더 삽입하여 소변이 곡반 속으로 흘러나오게 한다(남자의 경우 도뇨관 삽입이 쉽도록 음경을 60 ~ 90˚ 정도 들어올린 다음 삽입).

→ 도뇨관이 방광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 남성의 경우 요도가 구부러져 있으므로 삽입 시 요도점막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고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23. 소변이 흘러나오지 않게 되면 도뇨관을 천천히 돌리면서 빼어 세트에 넣고 마른 거즈로 요도구와 회음부 주위를 닦아낸다.

24. 공포(hole towel)를 치우고 장갑을 벗는다.

25. 손 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26.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해주고, 1회용 장갑을 착용한 후 소변기에 곡반의 소변을 담아 양을 측정한다.

→ 소변의 색이나 양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확인하는 중요한 자료

27.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28. 물과 비누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29. 수행결과를 대상자의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시간과 날짜, 절차를 시행한 이유, 사용한 도뇨관의 크기, 소변의 양과 색깔)

출처

송경애 외(2018),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강효정 외(2017), 핵심기본간호술 가이드라인, 수문사

NursingSkills, https://www.nursingskills.kr/

반응형

'간호학 한 발자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간호술기] 배출관장  (0) 2024.04.25
[핵심간호술기] 유치도뇨  (1) 2024.04.25
[핵심간호술기] 간헐적 위관영양  (0) 2024.04.24
[간호술기] 위관관리  (0) 2024.04.23
[핵심간호술기] 수혈  (0) 2024.04.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