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한 발자국

[핵심간호술기] 기관내 흡인

by 상미미 2024. 4. 29.
반응형
 

1. 개요

1) 인공 기도관

흡인은 스스로 기도 분비물을 제거할 수 없는 대상자의 기도 분비물을 제거하고, 최적의 환기와 산소공급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합니다. 흡인의 빈도와 깊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대상자를 사정합니다. 일부 대상자는 매 1 ~ 2시간마다 흡인이 필요한 반면, 다른 일부의 대상자들은 하루에 1 ~ 2회 정도 흡인이 필요합니다. 제거되지 않은 분비물은 폐로 흡인되어, 감염의 위험성과 호흡부전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기관내관(endotracheal tube, Et tube)과 기관 절개관(tracheostomy tube, TTs, trach)은 기도 폐쇄를 완화하고, 인공 호흡기의 통로를 제공하며, 분비물을 쉽게 제거하고, 기침 반사나 구역 반사가 손상된 대상자의 심한 흡인을 예방하기 위하여 삽입된 인공 기도관입니다.

흡인을 돕기 위하여, 폐쇄 체계의 흡인 카테터 체계 장치나 inline suction catheter devic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폐쇄 체계의 흡인 장치나 inline suction catheter device은 환기와 산소공급 방해를 막고, 감염을 최소화하면서 빠르게 하부 기도를 흡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흡인 절차와 관련된 많은 위험이 있습니다. 심장리듬장애를 초래하는 저산소증과 관련된 증상이 가장 심각하며, 심장 리듬장애가 있으며, 흡인 카테터에 의한 상해로 야기될 수 있는 비강 외상과 출혈이 있습니다.

흡인은 머리에 상해를 입은 대상자의 두개 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흡인 전에 혈관수축을 유발하여 저 탄산혈증을 유발하도록 과다환기를 시킴으로써, 혈관수축을 유발하여 ICP상승의 위험을 줄입니다. 혈관수축은 ICP의 상승 위험성을 감소시킵니다. 각 흡인 절차 당 2번 흡인하는 것으로 제한합니다.

만약 대상자가 흡인 중에 호흡곤란이 발생한 경우, 즉시 카테터를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산소나 필요에 따라서 호흡을 제공하며, 응급상황의 경우, 카테터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산소를 줍니다다. 흡인을 분리하고, 카테터를 통하여 처방된 유속으로 산소를 제공합니다.

 

2) 문화적 고려사항

① 의사소통은 필수적입니다. 인공기도관은 대상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변화시키는데 특히, 다른 문화권의 대상자는 두려움과 좌절감, 취약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게다가 기도 개방성 유지를 위하여 사용하는 기구들은 새롭고 두렵습니다. 대상자와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코인두 흡인의 의미에 대하여 사정합니다. 가족들이 매우 힘들어할 수 있는 기침과 찢김과 같은 예상 가능한 상황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많은 베트남 사람들은 신체에 물체가 들어오는 것이 질병을 유발한다고 믿기 때문에, 일부 대상자는 흡인이 대상자에게 질병을 가져다 줄 수 있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 문화에서는 양과 음의 힘(음양) 사이의 조화가 최적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며, 반드시 유지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② 절차의 치료적 목적과 영향을 문화에 맞도록 설명합니다. 가능하다면 흡인 기술을 시범보이고, 대상자와 가족이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합니다. 사용가능 하다면 흡인과 기관절개관 간호와 같이 침습적이고 여러 번 반복해야 할 필요가 있는 절차 설명에는 전문 통역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통역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기관내관(endotracheal, ET)이나 기관 절개관 삽입과 같은 침습적인 절차를 가족이나 지역사회 구성원이 설명하도록 합니다. 한국어 사용이 힘든 대상자는 가족들이 침대 옆에서 도와줄 수 있도록 격려합니다. 대상자와 의사 소통하는 대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어, 가족과 협력합니다. 최대한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그들의 언어로 된 교육 도구를 대상자와 가족에게 제공합니다.

 

3) 코 기관

흡인은 스스로 기도 분비물을 제거할 수 없는 대상자의 기도 분비물을 제거하여 최적의 환기와 산소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합니다. 코 기관 흡인은 기관에 있는 분비물을 제거함으로써, 대상자의 기도 개방성 유지를 돕습니다. 작은 고무 튜브나 부드러운 플라스틱 튜브를 코를 통해 기관까지 삽입하여 음압을 줌으로써, 점액을 제거합니다. 기관 흡인은 하부기도까지 연장됩니다. 흡인의 빈도와 깊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대상자를 사정합니다. 일부 대상자는 매 1 ~ 2시간마다 흡인이 필요한 반면, 다른 대상자들은 하루에 1 ~ 2회 정도 흡인이 필요합니다.

가능하다면 인두 흡인 전에 코를 통해서 기관을 흡인합니다. 입과 인두는 기관에 비해 박테리아가 많은데 만약 흡인을 시작하기 전에 많은 양의 구강 분비물이 있다면 첫 번째로 구강 흡인 도구로 구강을 흡인합니다.

흡인 전과정 동안 맥박산소측정기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활력증후와 산소포화도를 관찰합니다. 만약 대상자의 맥박이 분당 20회 이상 떨어지거나 분당 40 회 이상 상승한 경우 산소 포화도가 90% 이하로 떨어지거나 기준치보다 5% 정도 떨어진 경우 흡인을 멈춥니다.

흡인은 머리에 상해를 입은 대상자의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를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흡인 전에 저탄산증을 유발하도록 과다환기를 시킴으로써, 혈관수축을 유발하여 ICP상승의 위험을 줄입니다. 혈관수축은 ICP의 상승 위험성을 감소시킵니다. 각 흡인 절차 당 2번까지 흡인하는 것으로 제한합니다.

 

4) 비인두 흡인

가능하면 인두 흡인(pharyngeal suctioning) 전에 비기관 흡인(nasotracheal suctioning)을 시행합니다. 입안과 인두(phar

ynx)에는 기관(trachea)보다 더 많은 세균이 존재합니다. 절차를 시작하기 전에 다량의 구강 분비물이 있다면 먼저 Yanka

uer 흡인 장치로 입안을 흡인합니다. 흡인 과정 동안 대상자의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oxygen saturation)를 관찰합니다. 만약 대상자가 서맥(bradycardia), 빈맥(tachycardia) 또는 저산소혈증(hypoxemia)을 보인다면 흡인을 중단하도록 합니다. 산소포화도(oxygen saturation)가 대상자의 일반적인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거나 흡인 도중 또는 흡인이 끝날 때쯤 호흡곤란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산소를 보충 공급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흡인(suctioning)은 스스로 분비물을 제거할 수 없는 대상자에서 다량의 기도 분비물을 제거하여 환기와 산소화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절차입니다. 비인두 흡인(nasopharyngeal suctioning)은 구강 흡인(oral suctioning)이 효과가 없을 때 인두(pharynx)나 목구멍의 분비물을 제거함으로써 대상자가 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작은 카테터를 콧구멍을 통해 인두까지 삽입하고 음압을 가하여 분비물을 배출시킵니다.

의학적 필요에 의해 처방된 흡인의 경우에는 금기 사항이 없습니다. 그러나 출혈성 질환이나 기타 출혈의 위험, 기도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외과적 또는 선천적인 해부학적 변형, 현재 호흡기 질환, 얼굴이나 목의 부종, 두부 손상, 심장 문제가 있는 대상자의 경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기도(airway)를 유지할 수 없는 대상자는 구강 기도(oral airway)나 비인두 기도(nasopharyngeal airway)인 비강관(nasal trumpet)이 필요할 수 있다. 구강 기도는 구역반사(gag reflex)가 없는 대상자에게만 사용됩니다. 비강관은 구역반사는 있지만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기도 지지가 필요한 대상자에게 사용됩니다.

 

2. 목적

① 기관내관을 삽입한 대상자의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한다.

② 분비물로 인한 감염이나 무기폐를 예방한다.

 

3. 준비물품

흡인 카테터, 멸균장갑, 무균용기가 들어 있는 흡인 세트 또는 무균용기, wall suction 또는 이동용 흡인기, 일회용 멸균 생리식염수, 산소유량계 및 습윤병, ambu bag, 보안경과 마스크, 간호기록지, 손 소독제, 곡반, 수건이나 방수포

 

4. 절차 - 기관내 흡인(초록색 글씨는 이론적 근거)

1.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 미생물의 전파 방지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4. 손 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5.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 정확한 대상자 확인

6. 대상자에게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 가능하면 식사 전에 흡인을 실시

7. 대상자에게 적용 가능한 흡인압을 확인한다.

→성인 : 110 ~ 150mmHg, 아동 : 95 ~ 100mmHg, 영아 : 50 ~ 95mmHg

8. 흡인 시 체위는 의식 있는 대상자의 경우 반좌위로 하고, 무의식 대상자는 측위에서 간호사와 얼굴을 마주보도록 한다.

→ 기도 흡인 예방

9. 수건 또는 방수포를 대상자의 가슴 위에 덮는다.

→ 환의와 시트의 오염 방지

10. 무균용기가 들어 있는 세트를 열어 용기에 생리식염수를 따른다(세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일회용 생리식염수 30mL 용기를 개봉하여 사용).

→ 감염 예방

11. 카테터의 개봉부위를 약간 개봉하여 카테터와 흡인병이 연결되는 압력 조절구 쪽을 노출하여 흡인관과 연결한다.

12. 손 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13. 양손에 멸균장갑을 낀다(필요에 따라 흡인 전 과환기 실시).

→ 멸균상태 유지

14. 흡인 line을 잡을 손으로 흡인기를 켠 다음 흡인 lin을 들고, 흡인을 할 손으로 포장지 바깥쪽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며 카테터를 꺼낸다.

15. 삽입할 카테터의 길이를 정한 후 끝을 생리식염수로 윤활시키고, 흡인관을 잡은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연결관을 눌러보아 생리식염수가 잘 통과하는지 확인한다.

→ 카테터 내 분비물의 이동을 돕고, 기관내관에 카테터가 잘 삽입되도로 하기 위해

16. 연결관을 누르고 있던 엄지손가락을 뗀 상태로 인공기도를 통해 카테터를 부드럽게 삽입한다.

17. 연결관을 막고 카테터를 잡은 손의 엄지와 검지로 카테터를 부드럽게 회전시키면서 위로 천천히 뺀다(분비물 양상과 대상자의 저산소 상태 등을 살피면서 10 ~ 15초 이상 초과하지 않도록 신속히 흡인).

→ 과하게 흡인 시 저산소증 초래

18. 흡인을 한 카테터는 무균용기에 있는 생리식염수를 다시 통과시킨다(분비물이 통과할 때 분비물의 양상 관찰).

19. 분비물이 제거될 때까지 3 ~ 4회 같은 방법으로 흡인을 시행하되 20 ~ 30초의 간격을 유지한다.

→ 신체가 산소를 보충할 기간을 주기 위해

20. 흡인이 끝나면 장갑을 벗고, 흡인기를 끈 다음 물품을 정리한다.

21.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22. 수행결과를 대상자의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날짜와 시간, 분비물의 특성과 양, 흡인 전후 대상자의 호흡양상과 반응)

출처

송경애 외(2018),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강효정 외(2017), 핵심기본간호술 가이드라인, 수문사

NursingSkills, https://www.nursingskills.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