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개요
1) 산소요법의 적응증
① 호흡기계 장애 : COPD, pneumonia, pulmonary hypertension, cor Pulmonale 등
② 심혈관 장애 : angina, MI, arrhythmia, cardiogenic shock 등
③ 중추신경계 장애 : opioid narcotics overdose, head injury 등
④ 호흡 활동 감소
⑤ 동맥혈 산소분압 유지
⑥ 심장의 분하 감소
⑦ 휴식이나 수면 및 활동 시 산소포화도 90% 이상 유지
2) 산소요법의 방법
① 산소공급 경로 : 입 또는 코, 인공기도 등
② 흡입산소농도(FiO₂)
③ 산소공급 전달체계
3) Fio₂
환자들이 흡기를 할 때 공기중에 산소가 얼마나 있는가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으로 호흡수, 호흡량, 산소공급속도에 따라 실제로 환자가 들이쉬는 공기의 산소 농도가 달라집니다.
4) 산소투입 방법별 산소투여량
방법
|
산소농도
|
비강 캐뉼라(nasal cannula)
|
24 ~ 36%(1 ~ 4L/분)
|
단순마스크(simple face mask)
|
40 ~ 60%(5 ~ 10L/분)
|
부분재호흡마스크(partial rebreathing mask)
|
70 ~ 90%(6 ~ 15L/분)
|
비재호흡 또는 재호흡방지마스크
|
95 ~ 100%(6 ~ 15L/분)
|
안면텐트
|
30 ~ 50%(4 ~ 8L/분)
|
벤츄리마스크
|
24 ~ 36%(1 ~ 4L/분)
|
2. 목적
① 혈중 저산소증을 치료합니다.
② 대상자가 음식이나 수분을 섭취하는 동안 산소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③ 비교적 낮은 농도의 산소를 주입합니다.
3. 준비물품
Wall O₂ 또는 이동용 산소발생기, 산소유량계, 습윤병, 멸균증류수, 비강캐뉼라, 거즈, 피부보호용 드레싱 제품, 손 소독제
4. 절차 -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초록색 글씨는 이론적 근거)
1.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 미생물의 전파 방지
2. 처방을 확인한 후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4. 손 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5.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 정확한 대상자 확인
6. 대상자에게 산소요법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구하기 위해
7. 대상자에게 가능하면 반좌위를 취해준다.
→ 가슴의 확장을 도움
8. 습윤병에 증류수를 정해진 눈금까지 채운 후 증류수 마개를 닫는다.
→ 증류수는 적정량을 유지해야 하며, 지나치게 많은 경우 역류하여 흡인의 우려가 있음
9. 유량계와 습윤병을 연결한 후 중앙공급체계인 경우는 벽에, 이동용 산소발생기인 경우는 연결부위에 산소 유량계는 꽂는다.
10. 습윤병에 있는 산소장치의 출구와 비강 캐뉼라를 연결한다.
→ 산소의 가습화로 점막의 탈수 방지
11. 처방된 대로 유속을 조절하고 대상자에게 적용하기 전에 산소가 캐뉼라 밖으로 흐르는지 확인한 후 잠근다.
→ 보통 1 ~ 6L/분 속도로 주입
→ 24 ~ 44%의 산소농도 유지
→ 6L/분 이상은 비강점막 손상
12. 대상자 비공의 폐색 여부를 확인한다.
13. 캐뉼라 끝 부분을 대상자의 양쪽 비강에 삽입하고, 귀 뒤에 걸친 후 턱 밑에서 길이를 조절하거나 대상자의 머리둘레에 맞춰 조절한다.
→ 캐뉼라의 정확한 위치 고정은 산소투여를 원활하게 하고, 대상자를 편안하게 해줌
→ 캐뉼라의 길이 : 2.5cm 이하
14. 유량계를 열어 처방된 산소흡입량을 눈높이에서 조절한다(유량계 안에 있는 작은 공의 지름을 눈금에 맞춤).
→ 최적의 산소 공급
15. 가능하면 입을 다물고 코를 통해 호흡하도록 설명한다.
16. 대상자를 편하게 해준 후 산소 사용에 따른 화재 발생 위험성과 피부손상 등을 설명한다.
17. 손을 씻는다.
→ 미생물의 전파 방지
18. 손을 씻는다.
19. 수행결과를 대상자의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산소주입시간, 산소주입량, 호흡양상, 대상자의 반응)
출처
송경애 외(2018),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강효정 외(2017), 핵심기본간호술 가이드라인, 수문사
NursingSkills, https://www.nursingskills.kr/
'간호학 한 발자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간호술기] 기관절개관 관리 (0) | 2024.04.30 |
---|---|
[핵심간호술기] 기관내 흡인 (0) | 2024.04.29 |
[핵심간호술기]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 (1) | 2024.04.27 |
[핵심간호술기] 배출관장 (0) | 2024.04.25 |
[핵심간호술기] 유치도뇨 (1) | 2024.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