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행연구를 정리하는 정해진 규칙도, 정해진 방법도 없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정리해놓으면 편리한 내용이 있습니다. 선행연구를 정리할 때 선행연구를 따로 정리하고, 연구 도구를 따로 정리하면 나중에 이용하게 될 때도 매우 편합니다.
1. 선행연구 정리
① 선행연구의 연구자 이름, 논문 발행연도, 논문 제목,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작성합니다. 변수의 구분은 연구방법 중 연구모형을 통해 구분이 가능하며, 이외에도 논문의 내용을 통해 구분이 가능합니다.

② 가설 설정은 연구방법 중 가설설정을 참고해서 작성하고, 결론은 연구결과 중 가설 검증의 요약 또는 고찰 및 결론을 참고하여 작성합니다.

③ 제언 및 논의는 고찰 및 결론을 참고하여 작성합니다.

④ 비고란에는 선행연구의 특징을 작성합니다. 지도 교수님 논문인지, 지도 교수님의 지도 학생 논문인지, 타 대학의 논문인지. 그리고 매개변수와 조절변수 등을 작성해도 좋습니다.

2. 연구도구 정리
① 어떤 변수에 관한 연구 도구인지 작성하고, 몇 번째로 작성한 건지 번호를 작성합니다.

② 연구 도구를 찾은 논문의 제목, 연구자 이름, 발행연도를 작성합니다.

③ 조작적 정의를 작성합니다. 설문지 문항 구성과 신뢰도에 관한 표가 있다면 함께 첨부해주면 보기 편합니다.

④ 설문지를 첨부합니다.

⑤ 최종

반응형
'통계학 한 발자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SS 통계 해석]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SPSS Process Macro) (0) | 2024.05.19 |
---|---|
[SPSS 통계 해석] 조절효과 검증(Baron&Kenny) (0) | 2024.05.19 |
[SPSS 통계 해석] 회귀분석 -2 (위계적 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0) | 2024.05.17 |
[SPSS 통계 해석] 회귀분석 -1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0) | 2024.05.17 |
[SPSS 통계 해석] 평균치 비교-3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변이) (0) | 2024.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