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종속변수인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종교에 따른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서,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Duncan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활 적응은 종교(F=5.636,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종교에 대하여 Duncan의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활 적응은 천주교보다 기독교, 불교, 무교에서 높게 나타났다.
2.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종속변수인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종교에 따른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서,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Duncan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활 적응은 종교(F=5.636,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종교에 대하여 Duncan의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활 적응은 천주교보다 기독교, 불교, 무교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이원배치 분산분석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전공만족도와 성적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원배치 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전공만족도의 주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F=6.417, p<.001), 성적에 대한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전공만족도와 성적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F=4.506, p<.001).

이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전공만족도의 주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본페로니의 다중비교(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를 실시한 결과,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본페로니의 다중비교(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를 통해 확이한 결과, 전공 만족도가 매우 만족일 경우 성적이 3.0 이상 4.0 미만인 경우 대학생활 적응이 높았고, 전공만족도가 만족일 경우 성적이 4.0이상인 경우 대학생활 적응이 높았다. 전공만족도가 보통일 경우 성적이 3.0 이상 4.0 미만인 경우 대학생활 적응이 높았고, 전공만족도가 불만족일 경우 성적이 3.0 미만인 경우 대학생활 적응이 높았다.
'통계학 한 발자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SS 통계 해석] 회귀분석 -1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0) | 2024.05.17 |
---|---|
[SPSS 통계 해석] 평균치 비교-3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변이) (0) | 2024.05.16 |
[SPSS 통계 해석] 평균치 비교(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0) | 2024.05.16 |
[SPSS 통계 해석] 교차분석 (0) | 2024.05.15 |
[SPSS 통계 해석] 타당도분석(요인분석) (0) | 2024.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