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Chi-square test

성별과 흡연의 관계를 x² 검정한 결과, 성별과 흡연 여부 간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을 밝혀졌다(p<.05). 전체 집단에서 남성 흡연자의 비율은 45%, 비흡연자의 비율은 15%였지만, 여성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비율은 각 20%로 나타났다. 즉, 성별과 흡연 여부 간에는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2. Fisher's exact test

5보다 작은 기대빈도를 가지는 셀이 20%보다 많으므로 Fisher의 정확한 검정(Fisher's exact test'을 시행한 결과, 성별과 흡연 여부 간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반응형
'통계학 한 발자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SS 통계 해석] 평균치비교-2 (일원배치 분산분석, 이원배치분산분석, ANOVA) (0) | 2024.05.16 |
---|---|
[SPSS 통계 해석] 평균치 비교(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0) | 2024.05.16 |
[SPSS 통계 해석] 타당도분석(요인분석) (0) | 2024.05.15 |
[SPSS 통계 해석] 신뢰도 분석 (0) | 2024.05.14 |
[SPSS 통계 해석]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0) | 2024.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