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학 한 발자국

[SPSS통계분석 기초] 조절효과 검증(Baron & Kenny)

by 상미미 2024. 5. 10.
반응형

1. 조절효과 검증

1) 정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제 3의 변수입니다. 매개분석이 매개변수를 도입하여 독립변수인 X가 종속변수인 Y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루는 것이라면, 조절분석은 조절변수를 도입하여 독립변수인 X가 종속변수인 Y에 언제 영향을 미치지는지를 다루는 것입니다. 즉,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나 방향이 조절변수의 값에 따라 달라진다면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의 영향이 조절변수에 의하여 조절된다고 하고 이러한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조절분석입니다.

 

2) 상호작용 변수와 평균 중심화 작업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뿐 아니라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곱한 값을 변수에 투입합니다. 이를 통해 변수가 서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 수 있고, 서로 어떤 작용하는지에 관한 가설을 갖는 변수를 '상호작용 변수'라고 합니다. 하지만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곱한 값은 독립변수나 조절변수와 유사성이 있기 때문에, 데이터가 편향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평균 중심화 작업을 진행합니다.

Aiken&West(1991)가 독립변수인 X와 조절변수인 M의 XM과의 상관관계(다중공선성)로 인하여 상호작용항 변수에 대한 통계적 검정력의 저하를 가져올 가능성 때문에 평균중심화의 필요성을 역설한 이후로 많은 연구들에서 평균중심화의 중요성을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학계에서 평균중심화의 무용론에 대하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고, 연구의 결론은 조절효과를 검정하는 경우에 이러한 평균중심화가 필요 없다는 것입니다(이형권, 2015, pp. 267-279).

 

3)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 검증방법

①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지 확인합니다.

②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지 확인합니다.

③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호작용 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지 확인합니다.

 

4) 가설 설정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간호전문직관의 조절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면,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스트레스는 연속형 자료, 조절변수인 간호전문직관은 연속형 자료, 종속변수인 우울도 연속형 자료이기 때문에 조절효과를 검증합니다.

 

① 가설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변수가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② 귀무가설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변수가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

③ 대립가설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변수가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5) Baron & Kenny의 조절효과 검증

① 메뉴를 선택합니다.

② '변수' 입력칸에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스트레스', 종속변수인 '간호전문직관'을 지정하고, 좌측 밑에 있는 '표준화 값을 변수로 저장(Z)을 지정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변수명 앞에 Z가 붙어서 표준화 변수가 새로 생성됩니다.

③ 메뉴를 선택합니다.

 

④ '목표변수(T)'에 변수명을 지정하고, '숫자표현식(E)'에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호작용 값을 구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⑤ 메뉴를 선택합니다.

⑥ '독립변수' 입력칸에 'Z대학생활 스트레스', '종속변수' 입력칸에 '우울감'을 지정합니다.

⑦ '다음'을 클릭하여 '독립변수' 입력칸에 조절변수인 'Z간호전문직관'을 지정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⑧ '블록(B)3/3' 입력칸에 상호작용 변수인 '스트레스x전문직관'을 지정하고, '통계량'을 클릭합니다.

⑨ 'R 제곱 변화량', '공선성 진단', 'Durbin-Watson'에 체크하고, '계속'을 클릭합니다.

⑩ '확인'을 클릭합니다.

⑪ 'ANOVA'에서 F값에 대한 유의확률이 모두 .05 미만으로 나타나, 모든 단계에서 회귀모형은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모형 요약d'에서 R 제곱을 통해 모형의 설명력을 알 수 있습니다. 1단계에서는 R제곱이 .280, 2단계에서는 R제곱이 .333, 3단계에서는 R제곱이 .360이었으며, 1단계에서는 설명력이 28%, 2단계에서는 설명력이 33.3%, 3단계에서는 설명력이 36.0%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⑫ 1단계 모형에서는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B=.360, p<.001). 2단계 모형에서도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B=.317, p<.001). 마지막으로 3단계 모형에서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의 상호작용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B==.072, p<.01).

이는 조절변수인 간호전문직관이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종속변수인 우울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는데, 부(-)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조절변수인 간호전문직관은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우울이 증가하지만, 간호전문직관이 증가하게 되면 대학생활 스트레스에 의해 증가하는 우울감이 감소하게 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