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학 한 발자국

[SPSS통계분석 기초] 매개효과 검증(SPSS Process Macro)

by 상미미 2024. 5. 10.
반응형

1. 매개효과 검증

1) 정의

매개변수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매개자 역할을 하는 제 3의 변수입니다. 단순히 독립변수 그 자체만으로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독립변수에 의해 매개변수가 영향을 받고, 영향을 받은 매개변수에 의해서 종속변수가 영향을 받는 것입니다. 매개변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교량 역할을 합니다.

 

2) 구분

① 부분매개효과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

② 완전매개효과 :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서만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3) Process Macro 설치

① 다음의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processv33.zip

7.98MB

② 다운로드 받은 'processv33.zip'을 압축해제합니다.

③ 압축해제 후 'PROCESS v3.3 for SPSS' 폴더를 클릭합니다.

④ 'Custom dialog builder file' 폴더를 클릭합니다.

⑤ 'Process.spd' 파일을 실행합니다.

⑥ 설치가 완료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4) 가설 설정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을 매개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정하고자 한다면,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스트레스는 연속형 자료, 매개변수인 우울도 연속형 자료, 종속변수인 대학생활 적응도 연속형 자료이기 때문에 매개효과를 검증합니다.

 

① 가설 :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매개하여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② 귀무가설 :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을 매개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③ 대립가설 :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을 매개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5) Hayes의 Process Macro

① Process Macro는 변수이름이 영문일 경우에만 실행이 되기 때문에, 변수 이름을 간단하게 영문으로 변경해줍니다. 스트레스는 stress, 우울은 depression, 대학생활 적응은 jeokeung으로 바꿔준 모습입니다.

② 메뉴를 선택합니다.

③ 'Model number'는 4, 'Y variable'은 jeokeung, 'X variable'은 stress, 'Mediator(s) M:'은 depression을 입력합니다.

Model number의 경우 분석모델을 선택하는 것으로 4번 모델이 매개모형입니다.

각각의 X, Y, Mediator의 경우 독립변수, 종속변수, 매개변수를 뜻하며, 각 입력칸에 맞는 변수를 지정합니다.

④ 'Options'를 클릭하고, 형광색으로 된 곳에 각각 클릭을 해줍니다.

 

⑤ p값의 범위도 지정해주고, '계속'을 클릭합니다.

⑥ '확인'을 클릭합니다.

⑦ 제대로 실행될 경우 다음과 같은 글이 출력되며, 잠시 기다립니다.

⑧ 분석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보여줍니다. 다음의 분석은 model 4(매개모형)이며, 독립변수는 대학생활 스트레스, 매개변수는 우울, 종속변수는 대학생활 적응이며, 총 237개의 샘플을 이용하였습니다.

밑의 Outcome variable : depression이라는 뜻은 결과변수가 우울이라는 것으로 모델에 사용된 변수는 constant(상수)와 stress(대학생활 스트레스)로 즉,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분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경로에서는 p값이 <.001로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이 .4259(coeff에 적힌 값을 보시면 됩니다.)이며, LLCI(하한값)와 ULCI(상한값) 사이에 0이 없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⑨ 다음의 분석에서는 Outcome variable : jeokeung으로 결과변수가 대학생활 적응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Model을 통해 constant(상수), stress(대학생활 스트레스), depression(우울)의 총 3개의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해석방법과 마찬가지로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두 변수 모두 하한값(LLCI)과 상한값(ULCI) 사이에 0이 없기 때문에 유의함). 또한 대학생활 스트레스는 대학생활 적응에 -.3467, 우울은 대학생활 적응에 -.6629만큼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coeff의 값을 참고).

Total Effect Model의 Outcome variable : jeokeung으로 Model을 보면 constant(상수), stress(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있으므로,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해석방법은 위와 동일합니다.

⑩ 논문에 결과해석할 때는 아래에서 형광펜으로 칠해진 부분의 값만 입력해도 됩니다. 즉 매개효과의 값으로 우울의 Effect는 -.2824, Boot SE는 .0429, Boot LLCI는 -.3692, Boot ULCI는 -.2023으로 나타났습니다. 우울의 효과는 -.2824로 나타났으며,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하한값과 상한값 사이에 0이 없기 때문에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대학생활 스트레스는 우울에 정(+)의 효과를, 우울은 대학생활 적응에 부(-)의 효과르르 나타냈습니다. 즉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우울이 증가하며, 증가한 우울은 대학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아래의 Partially standardized indirect effect(s) of X on Y:와 Completely standardized indirect effect(s) of X on Y: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분매개효과와 완전매개효과일 경우의 값을 산출한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