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학 한 발자국
연구방법론 - 전실험설계
상미미
2024. 4. 27. 11:45
반응형

1. 개념
전실험설계는 무작위할당에 의해 연구대상을 나누지 않고, 비교집단 간의 동질성이 없으며, 독립변수의 조작에 따른 변화의 관찰이 제한된 경우에 실시하는 설계유형입니다. 인과적 추론이 어려운 설계로 내 · 외적 타당도를 거의 통제하지 못합니다.
2. 전실험설계의 유형
1) 1회 사례연구
단일사례 또는 단일집단에 실험조치를 한 후 종속변수의 특성에 대해 검토를 하여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개입의 효과를 관찰하는 것이 주목적으로 탐색적 목적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교 관찰이나 가설검증을ㄹ 위한 충분한 근거가 없으므로 분석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으며, 변수의 통제도 어렵습니다.
2)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
실험군 대상으로 하여 사전검사를 한 다음 독립변수를 도입하고, 이후 사후검사를 하여 인과관계를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실험조치 전후에 걸친 일정 기간의 측정상 차이를 실험에 의한 영향으로 확신하기 어려우며, 성숙효과, 시험효과, 제 3의 변수가 개입할 수 있습니다. 단일 집단만으로는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매우 협소해집니다.
집단
|
사전조사
|
실험처치
|
사후조사
|
실험군(실험집단)
|
A1
|
C
|
A2
|
3) 정태적 집단 비교설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임의적으로 선정한 후 실험집단에는 실험조치를 가하는 반면 통제집단에는 이를 가하지 않은 상태로 그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통제집단 후 비교설계에서 무작위 할당을 제외한 형태입니다. 무작위 할당에 의한 동등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선택의 편의가 발생하며, 두 집단 간의 교류를 통제하지 못하므로 모방 효과가 발생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