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미이밍의 보건학 이야기
검색하기

블로그 홈

미이밍의 보건학 이야기

wnrnaldi.tistory.com/m

음주와 고양이를 사랑하는 사람

구독자
3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블로그 이전 작업 중! 모두보기
반응형

주요 글 목록

  • [SPSS 통계 해석]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SPSS Process Macro) 1.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SPSS Process Macro) 조절된 매개효과(moderated mediation effect)는 조절변수의 수준에 따라 매개과정의 강도나 방향이 변화되는 효과를 의미하는데, 통계적으로는 조건부 간접효과(conditional indirect effect)를 의미한다(Preacher, Rucker, & Hayes, 2007). 조절된 매개분석의 주된 목적은 조절변수 수준에 따른 매개과정의 구조적 변화 또는 간접효과 크기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건부 간접효과의 추정과 검정을 실시한다(Preacher et al., 2007). 조절된 매개효과는 매개효과의 강도가 특정 변수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조절변수의 값이 높아질수록 매개효과가 강화되거나 약..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5. 19.
  • [SPSS 통계 해석] 조절효과 검증(Baron&Kenny) 1. 조절효과 검증(Baron&Kenny) 본 연구에서는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검증하기 이전에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매개변수인 우울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에 제시하였다. 을 살펴보면, 위계적 회귀분석 1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조절변수인 간호전문직관을 같이 투입하였고, 2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조절변수인 간호전문직관의 상호작용항을 추가로 투입하였다. 이를 통해 상호작용항의 유의미성과 추가적인 설명량의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의 상호작용항이 통..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9.
  • 선행연구 정리/ 연구도구 정리 선행연구를 정리하는 정해진 규칙도, 정해진 방법도 없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정리해놓으면 편리한 내용이 있습니다. 선행연구를 정리할 때 선행연구를 따로 정리하고, 연구 도구를 따로 정리하면 나중에 이용하게 될 때도 매우 편합니다. 1. 선행연구 정리 ① 선행연구의 연구자 이름, 논문 발행연도, 논문 제목,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작성합니다. 변수의 구분은 연구방법 중 연구모형을 통해 구분이 가능하며, 이외에도 논문의 내용을 통해 구분이 가능합니다. ② 가설 설정은 연구방법 중 가설설정을 참고해서 작성하고, 결론은 연구결과 중 가설 검증의 요약 또는 고찰 및 결론을 참고하여 작성합니다. ③ 제언 및 논의는 고찰 및 결론을 참고하여 작성합니다. ④ 비고란에는 선행연구의 특징을 작성합니다. 지도 교수님 논문인..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8.
  • [SPSS 통계 해석] 회귀분석 -2 (위계적 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1.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여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종속변수인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 및 또래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과 에 제시하였다. 을 살펴보면, 1단계에서는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을 각각 투입하였고, 2단계에서는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의 상호작용항을 추가 투입하였다.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β=-.045, p>.05), R² 변화량도 유의미하지 않았다(∆R²=.002, F=.385, p>...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7.
  • [SPSS 통계 해석] 회귀분석 -1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1. 단순회귀분석(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독립변수인 진정성 리더십의 인지가 종속변수인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단순회귀분석은 한 개의 연속형 독립변수가 연속형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는 통계분석 방법이다. 분석 결과,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F=41.682, p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7.
  • [SPSS 통계 해석] 평균치 비교-3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변이) 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변수의 변이 종속변수인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Duncan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와 같다.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t-검정 분석결과 대학생활 적응은 학년(t=2.294, p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6.
  • [SPSS 통계 해석] 평균치비교-2 (일원배치 분산분석, 이원배치분산분석, ANOVA) 1.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종속변수인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종교에 따른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서,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Duncan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활 적응은 종교(F=5.636, p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6.
  • [SPSS 통계 해석] 평균치 비교(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1. 독립표본 t-test(유의하지 않은 경우) 대학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t-검정 분석결과 대학생활 스트레스는 성별,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독립표본 t-test(유의한 경우)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t-검정 분석결과 대학생활 적응은 학년(t=2.294, p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6.
  • [SPSS 통계 해석] 교차분석 1. Chi-square test 성별과 흡연의 관계를 x² 검정한 결과, 성별과 흡연 여부 간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을 밝혀졌다(p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5.
  • [SPSS 통계 해석] 타당도분석(요인분석) 1. 타당도 분석(요인분석)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추출 방법으로는 주축 요인 추출을 실시하였고 베리멕스 회전을 하였다. 그 결과 12개 항목 중 12개 항목을 모두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KMO 측도는 .768로 나타났고,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도 유의확률이 .05 미만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누적분산이 76.113%로 나타나 구성된 3개 요인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각 요인에 구성된 항목을 보면, 3개의 요인이 모두 4개 항목으로 포함되었으며, 첫 번째 요인은 경제, 두 번째 요인은 학업, 세 번째 요인은 가치관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적재값은 모두 0.4 이상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측정 도구..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5.
  • [SPSS 통계 해석] 신뢰도 분석 1. 신뢰도 분석 E. 또래지지 본 연구는 또래지지의 측정을 위해서 Nolten(1994)가 개발한 학생사회 지지척도(Student Social Support Scale: SSSS)를 근거로 수정한 이미라(2001)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에 부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또래지지의 설문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되어 있으며, 정서적 지지 3개 문항, 정보적 지지 2개 문항, 도구적 지지 2개 문항, 평가적 지지 2개 문항으로 총 4가지 하위척도를 기준으로 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2. 신뢰도 분석의 허용 범위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개 내적일관성 검정에 사용되는 Chronbach's alpha계수를 이용합니다. 이는 동일한 개념을 ..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4.
  • [SPSS 통계 해석]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1. 기술통계분석 해석 자료 검토를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으로 도출된 각 변수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의 결과는 와 같다. 변수들의 평균값을 살펴보면 고객불량행동 3.74±.51, LMX 3.30±.84, 서비스 사보타주 4.12±.53으로 조사되었다. 2. 상관분석 해석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고객불량행동, LMX, 서비스 사보타주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와 같다. 그 결과 서비스 사보타주에 고객불량행동(r=173, p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5. 14.
  • 통계분석 시 핵심개념 - 통제 1. 허위관계(거짓관계, Spurious relationship) 1) 개념 두 변수들 간에 이론적으로 아무런 관련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두 변수들 간의 관계가 높은 것처럼 보이는 관계입니다. 제 3의 변수가 두 변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데, 인과관계를 성립시키기 위해 혼란변수, 왜곡변수 등 이러한 요소들을 통제해야 합니다. 2) 제 3의 변수 ① 외생변수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가 제3의 변수와 연결됨으로써 인과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변수 ② 억제변수 : 변수 간의 상과관계가 있으나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약화시키거나 소멸시키는 제3의 변수 ③ 선행변수 : 인과관계에서 독립변수에 앞서면서 독립변수에 유효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제3의 변수 ④ 매개변수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매개자 역할..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3.
  • 통계분석 시 핵심개념 - 유의확률 1. 가설 1) 좋은 가설 가설도 단순명료해야 합니다. 주제나 추후에 시행할 통계적 방법에 대해 애매모호한 점이 없고, 필요한 내용만 간단명료하게 정리해야 합니다. 2)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대립가설은 연구에서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이며, 귀무가설은 대립가설의 반대되는 가설입니다. 대충 공부하거나 암기하다 보면 귀무가설은 무조건 '두 변수 간의 차이점이 없다.'라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개념은 위에서 서술한 대로 대립가설은 연구자의 주장, 귀무가설은 대립가설의 반대되는 가설이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에 관련성을 입증하는 연구의 경우 대립가설은 '두 변수 간에 관련이 있다.' 또는 '두 변수 간에 차이가 있다.'라고 설정됩니다. 하지만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에 관련성이 없음을..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3.
  • 통계분석 시 핵심개념 - 변수 1. 변수 1) 정의 개념이란 특수한 현상들이 갖는 특징들을 일반화시켜 추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설명하고 명명한 단어 또는 용어입니다. 예로 환아의 통증, 수술 예후, 우울 정도 등이 있습니다. 어떤 사물을 추상화하고 분류하기 위하여 개념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개념화라고 합니다. 실제 연구에서는 애매하고 모호한 개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하고, 구체적인 변수를 사용해야 하는데, 개념을 타당화시켜 측정할 수 있도록 이론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를 내려야 합니다. 조작적 정의가 내려진 후 연구의 대상이 되는 속성으로 대상에 따라 변화하는 값을 갖는 것을 변수라고 합니다. 변수는 그 자체로서 측정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측정이 불가능할 수도 있으며..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2.
  • [SPSS 통계분석]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SPSS Process macro) 1.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1) 정의 Hayes가 제시한 모형 중에서 조절된 매개효과 또는 매개된 조절효과와 관련된 Model로 언급되는 것이 7, 8, 12, 14, 58, 59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모형은 이론이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정해야 합니다. 2) 단순매개분석 단순매개분석에서는 독립변수인 X가 매개변수인 M을 매개하여 종속변수인 Y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합니다. ① 부분매개효과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 ② 완전매개효과 :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서만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3)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상호작용 변수와 평균 중심화 작업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제 3의 변수입니다. 매개분석이 매개변수를 도입하여 독립변수인 X가 종속변수.. 공감수 0 댓글수 1 2024. 5. 12.
  • [SPSS통계분석] 조절효과 검증(SPSS Process Macro) 1. 조절효과 검증 1) 정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제 3의 변수입니다. 매개분석이 매개변수를 도입하여 독립변수인 X가 종속변수인 Y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루는 것이라면, 조절분석은 조절변수를 도입하여 독립변수인 X가 종속변수인 Y에 언제 영향을 미치지는지를 다루는 것입니다. 즉,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나 방향이 조절변수의 값에 따라 달라진다면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의 영향이 조절변수에 의하여 조절된다고 하고 이러한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조절분석입니다. 2) 상호작용 변수와 평균 중심화 작업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뿐 아니라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곱한 값을 변수에 투입합니다. 이를 통해 변수가 서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 공감수 1 댓글수 1 2024. 5. 11.
  • [SPSS통계분석 기초] 조절효과 검증(Baron & Kenny) 1. 조절효과 검증 1) 정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제 3의 변수입니다. 매개분석이 매개변수를 도입하여 독립변수인 X가 종속변수인 Y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루는 것이라면, 조절분석은 조절변수를 도입하여 독립변수인 X가 종속변수인 Y에 언제 영향을 미치지는지를 다루는 것입니다. 즉,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나 방향이 조절변수의 값에 따라 달라진다면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의 영향이 조절변수에 의하여 조절된다고 하고 이러한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조절분석입니다. 2) 상호작용 변수와 평균 중심화 작업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뿐 아니라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곱한 값을 변수에 투입합니다. 이를 통해 변수가 서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5. 10.
  • [SPSS통계분석 기초] 매개효과 검증(SPSS Process Macro) 1. 매개효과 검증 1) 정의 매개변수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매개자 역할을 하는 제 3의 변수입니다. 단순히 독립변수 그 자체만으로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독립변수에 의해 매개변수가 영향을 받고, 영향을 받은 매개변수에 의해서 종속변수가 영향을 받는 것입니다. 매개변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교량 역할을 합니다. 2) 구분 ① 부분매개효과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 ② 완전매개효과 :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서만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3) Process Macro 설치 ① 다음의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processv33.zip 7.98MB ② 다운로드 받은 'processv33.zip'을 압축해제합니다. ③ 압축해제 후 'PROCE..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10.
  • [SPSS통계분석 기초] 매개효과 검증(Baron & Kenny) 1. 매개효과 검증 1) 정의 매개변수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매개자 역할을 하는 제 3의 변수입니다. 단순히 독립변수 그 자체만으로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독립변수에 의해 매개변수가 영향을 받고, 영향을 받은 매개변수에 의해서 종속변수가 영향을 받는 것입니다. 매개변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교량 역할을 합니다. 2) 구분 ① 부분매개효과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 ② 완전매개효과 :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서만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3)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방법 ①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지 확인합니다. ②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지 확인합니다. ③ 매개변..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9.
  • [SPSS통계분석 기초] 로지스틱 회귀분석 1.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 1) 정의 회귀(regression)란 19세기 영국의 유전학자 Francis Galton이 키 큰 선대 부모들이 낳은 자식들의 키가 점점 더 커지지 않고, 다시 평균 키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고 발견한 개념으로, 보통 평균으로의 회귀(regression toward mean)의 뜻으로 쓰입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은 연속형 독립변수가 범주형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독립변수의 변화에 의해 종속변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증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2) 가설 설정 간호전문직관과 또래지지가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정하고자 한다면, 독립변수인 간호전문..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9.
  • [SPSS통계분석 기초] 더미변환 1. 더미변환 1) 정의 회귀분석에서 범주형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변환시켜주는 작업입니다. 회귀분석에서 명목 또는 서열 척도의 독립변수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이 더미변환을 하여 분석을 해야 합니다. 만약 변환하고자 하는 변수가 성별이라면, 남성과 여성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는 변수를 1개의 변수로 전환해줍니다. 남성일 경우 1, 아닌 경우 0으로 만들어 줍니다. 여성은 남성이 아닐 나머지 경우의 수이기 때문에 따로 더미변수를 생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처럼 2개의 범주로 구성된 변수일 경우 1개의 더미변수, 3개의 범주로 구성된 변수일 경우 2개의 더미변수, 4개의 범주로 구성된 변수일 경우 3개의 더미변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즉, 몇 개의 범주로 구성되어 있는지 파악하고, 1개..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5. 8.
  • [SPSS통계분석 기초] 매개효과 검증(Sobel-test) 1. 매개효과 검증 1) 정의 매개변수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매개자 역할을 하는 제 3의 변수입니다. 단순히 독립변수 그 자체만으로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독립변수에 의해 매개변수가 영향을 받고, 영향을 받은 매개변수에 의해서 종속변수가 영향을 받는 것입니다. 매개변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교량 역할을 합니다. 2) 구분 ① 부분매개효과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 ② 완전매개효과 :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서만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3) Sobel test 대개 논문에서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 후 Sobel test 결과를 추가로 보여줍니다. Sobel test 사이트는 구글에 sobel test라고 검색하거나, ..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8.
  • [SPSS통계분석 기초] 위계적 회귀분석(해석) 1. 위계적 회귀분석 1) 위계적 회귀분석의 목적 ① 1단계에서 일반적 특성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2단계에서 일반적 특성과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② 독립변수의 단계를 분리하여 3단계 이상으로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을 파악 ③ 매개효과 또는 조절효과 검증 2) 정의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은 연속형 독립변수가 연속형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분석을 여러번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독립변수의 변화에 의해 종속변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증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회귀분석 방법은 동일하며, 독립변수들을 추가로 투입하며 분석을 진행합니다. 3) 가설 설정 직장 내 역할 갈등이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정하고자 한다면, ..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5. 7.
  • [SPSS통계분석 기초] 다중회귀분석 (해석) 1. 다중회귀분석 1) 다중회귀분석의 목적 ① 독립변수 분석 : 종속변수와 관련이 있는 주요 독립변수들을 파악 ② 교란변수 통제 :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개별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실제로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파악 ③ 종속변수 예측 : 독립변수들을 통해 가능한 한 정확히 종속변수의 값을 예측 2) 정의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은 두 개 이상의 연속형 독립변수가 연속형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독립변수의 변화에 의해 종속변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증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단순회귀분석과 개념과 분석방법이 동일하며, 독립변수의 수에서 차이가 납니다. 3) 가설 설정 직장 내 역할 갈등이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5. 6.
  • [SPSS통계분석 기초] 단순회귀분석 (회귀분석, 해석) 1. 단순회귀분석 1) 상관분석의 한계 두 변수 사이에 비선형적 관계가 존재할 경우, 실제로 유의미한 관계일지라도 상관계수는 0일 수 있으며, 상관계수가 기울기가 아니므로 변수 x의 특정 값이 주어질 때 그와 관계를 갖고 변하는 y의 값이 무엇인지 예측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더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합니다. 2) 정의 회귀(regression)란 19세기 영국의 유전학자 Francis Galton이 키 큰 선대 부모들이 낳은 자식들의 키가 점점 더 커지지 않고, 다시 평균 키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고 발견한 개념으로, 보통 평균으로의 회귀(regression toward mean)의 뜻으로 쓰입니다. 단순회귀분석(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은 연..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5.
  • [SPSS통계분석 기초] wilcoxon 부호순위 검정 . 대응표본 t-test 1) 정의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 t-test)은 두 개의 연속형 변수 간 평균값을 비교하는 통계 검정 방법입니다. 짝지은 두 표본의 평균값을 비교하는데, 짝지은 표본이란 독립표본과 달리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할 때 조건이 같은 개체 둘을 한 쌍으로 설정하여 추출해서 표본으로 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짝지은 자료의 검정은 한 개체가 서로 다른 조건에서 피검자로 반복 측정되는 경우와 결과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외의 다른 조건들은 모두 동일한 상태로 짝을 지어 한 쌍이 연구대상이 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검정법입니다. 하지만 표본수가 적고, 정규성 검정에서도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지 않기 때문에 비모수 통계인 Wilcoxon singed rank test를 시행합니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5. 4.
  • [SPSS통계분석 기초] Mann-whitney검정 1. Mann-Whitney 검정 1) 정의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은 두 집단 간 평균치의 차이를 비교하는 통계 검정 방법입니다. 독립표본이란,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할 때 비교하려는 두 표본 간에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추출된 표본으로 한 집단의 측정치가 또 다른 집단의 측정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독립성이 보장된 자료를 의미합니다. 독립변수는 범주형 자료, 종속변수는 연속형 자료인 경우에 활용합니다. 집단 간의 독립성은 가정되지만,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을 때 독립표본 t-test를 대신하여 비모수 통계인 Mann-Whitney test를 시행합니다. 2) 가설 설정 성별에 따라 우울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고자 한다면, 성별은 남성과 여성으로..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3.
  • [SPSS통계분석 기초] Fisher의 정확검정 (카이제곱검정) 1. 교차분석 1) 정의 교차표를 활용하기 때문에 교차분석이라고 하며, 카이제곱 검정이라고도 합니다. 두 범주형 변수 간의 연관성, 즉 비율 구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경우 이용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독립변수를 행으로 하고,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되는 종속변수를 열로 하지만, 논문 용지에 맞게 작성하기 위해 연구자의 편의대로 행과 열을 임의로 설정하면 됩니다. 하지만 기대빈도가 5 미만인 cell이 전체 cell의 20%를 넘을 경우 Fisher의 정확한 검정을 시행합니다. 2) 가설 설정 성별은 남성과 여성으로 분류되는 범주형 자료이고, 흡연 여부도 흡연과 비흡연으로 분류되는 범주형 자료입니다. 성별에 따른 흡연 여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2.
  • [SPSS통계분석 기초] 정규성 검정 1. 정규성 검정 1) 개념 비모수 통계를 진행하기에 앞서 정규성 검정을 시행해야 합니다.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는 가우스 분포(Gaussian distribution)라고도 하며, 연속 확률 분포 중 하나입니다. 자연현상의 자료를 수집하여 그래프를 그리면 일반적으로 좌우대칭 종모양의 분포가 나타나는데, 이를 정규분포라고 합니다. 정규분포의 모양은 연속확률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에 의해 결정됩니다. 즉, 수없이 많은 다른 정규분포가 존재하므로 특정구간의 연속변수의 확률을 매번 계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인 평균과 표준편차가 일정하도록 변화하여 표준화한 표준정규분포입니다. 연속확률변수는 표준정규 확률변수 Z로 변환이 가능하며, 따라서 표준정규 확률분포표에 .. 공감수 1 댓글수 1 2024. 5. 1.
    반응형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